[선데이타임즈=한서연기자]교육부는 교원 본연의 업무인 학생지도를 잘할 수 있는 교원평가 실현을 목표로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교원평가제도 개선방안을 3일 발표하였다.

 
교육부는 이번 개선방안이 지난 2년여간 연구학교 시범운영정책연구권역별 심포지엄정책포럼공청회,·도교육청 의견 수렴전문가 협의회 *을 거쳐 마련되었고 밝혔다.

교원평가제도 개선 추진 경과

 

사업명

주요내용

시기

주관

1

연구학교

시범운영

2013(18개교),

20142015(65개교)

’13’15

교육부

2

정책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소속 연구진 중심 연구

’13’15

서울·울산·

세종교육청

3

권역별

심포지엄

4개 권역별 개최(수도권충청권영남권호남권)

’14.11

정책연구진

4

정책포럼

교원평가 재구조화(발표 및 토의

’14.12.18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원교육학회

5

공청회

교원평가제도 개선 시안 발표 및 토의

’15.7.1

교육부

서울시교육청

6

·도교육청

의견수렴

·도교육청별

별도 협의회 개최

’15.7.67.14

·도교육청

7

전문가

검토 협의회

교원평가제도 개선 시안 검토 협의회 개최

’15.8.12

교육부

그간학교현장에서는 세 가지 교원평가*를 별도로 실시해 중복된 평가에 따른 비효율성 지적, 교원들의피로감 호소평가별 결과 차이로 인한 신뢰성 논란연공서열식 평가 등의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교원근무성적평정(1964), 교원성과상여금평가(2001), 교원능력개발평가(2010)

  이에 교육부에서는 교원의 평가 부담감 해소와 결과의 신뢰성 제고수업과 생활지도를 잘하는 교원 우대 등 교원의 교육활동전념 여건 조성을 목적으로  교원평가제도 개선을 추진하였다.

이번에 교육부가 발표한  교원평가제도 개선방안 기존의 무성적평정과 성과상여금평가를 교원업적평가로 통합 간소화, 교원능력개발평가는 현 제도 개선·유지평가용어와 지표를 정비하고평가대상 기간을 학년도 단위로 통일하는 것이 핵심내용이다.

교원평가.jpg
                                                   <교원평가제도 개선방안>